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독도를 부탁해요독도교육을 위한 학습 자료를 공유해요

독도교육 자료실교수·학습 자료강치 이야기

강치 이야기

독도 바다사자, 강치
독도 주변의 해저 입체 지형도 - 자세한 내용은 위 내용을 참조하세요.
독도 강치 출처: Wikimedia Commons
독도 강치
  • 이름: 독도 강치
  • 종명: 독도 바다사자
  • 크기: 수컷 성체는 2.3~2.5m, 암컷은 1.6m 정도, 수컷 무게는 450~560kg
  • 분포: 북태평양 연안(한국, 러시아 사할린, 일본 연안)
  • 특징
    • 몸은 가늘고 긴 방추형, 원추형의 가늘고 짧은 귀와 꼬리를 가짐
    • 몸의 피부색은 변이가 심하며, 어린 개체는 암컷의 경우 회갈색으로 등 중앙이 암회색이며, 수컷은 노란색을 띤 갈색임
    • 일부다처제로 5~8월에 번식하며 바다사자는 주로 모래 연안에서 번식함. 독도의 경우 암초 위에서 번식
    • 다양한 어류와 오징어류를 먹이로 함
    • 독도의 바다사자는 항상 독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여 장거리 회유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일본에 의해 1903년부터 1941년까지 독도에서 남획되었으며, 1904년의 경우, 한 해 동안 약 3,200마리가 일본에 의해 남획됨
    • 1976년까지도 독도에서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었으나, 이후에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고 있음
    • 국제자연보존연맹에서는 1996년부터 절멸종으로 분류
강치의 친구들

강치와 비슷하게 생긴 수생 포유류에는 바다코끼리, 물개, 물범, 바다표범, 코끼리 물범 등이 있습니다.

  • 강치(바다사자) 출처: 위키피디아
    • 크기: 1.5~2m
    • 귓바퀴: 있음
    • 지느러미 크기: 몸에 비해 큼
    • 이동: 지느러미와 꼬리로 이동
    • 송곳니: 없음
  • 바다코끼리 출처: 위키피디아
    • 크기: 3.7m
    • 귓바퀴: 없음
    • 지느러미 크기: 몸에 비해 큼
    • 이동: 지느러미와 꼬리로 이동
    • 송곳니: 있음
  • 물개 출처: 픽사베이
    • 크기: 1.5~2.5m
    • 귓바퀴: 있음
    • 지느러미 크기: 몸에 비해 큼
    • 이동: 지느러미와 꼬리로 이동
    • 송곳니: 없음
  • 물범 출처: 위키피디아
    • 크기: 1.5~2m
    • 귓바퀴: 없음
    • 지느러미 크기: 몸에 비해 작음
    • 이동: 배로 밀며 이동
    • 송곳니: 없음
  • 바다표범 출처: 나무위키
    • 크기: 2.8~4m
    • 귓바퀴: 없음
    • 지느러미 크기: 몸에 비해 작음
    • 이동: 배로 밀며 이동
    • 송곳니: 없음
  • 코끼리 물범 출처: 나무위키
    • 크기: 4~5m
    • 귓바퀴: 없음
    • 지느러미 크기: 몸에 비해 작음
    • 이동: 배로 밀며 이동
    • 송곳니: 없음
지금은 만날 수 없는 강치

19세기까지만 해도 독도를 가지도(강치의 옛말)라 부를 정도로 강치가 독도에 많이 서식했으나
오늘날에는 독도에서 강치를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1953년 독도에서 제주 해녀 김공자씨가 새끼 강치와 함께 찍은 사진 출처: 한겨레신문

일제강점기 시절, 독도의 천연자원을 탐하던 일본은 우리 땅 독도를 강제로 점령하여 그곳의 천연자원들을 마음대로 남획했습니다. 그 천연자원의 대표적인 생물이 바로 강치입니다. 당시 강치의 가죽으로 만든 가방은 파리 박람회에서 금상을 받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으며 강치의 기름 또한 인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강치의 인기의 영향으로 일본은 독도에 서식하고 있는 많은 강치들을 암컷, 수컷, 새끼 상관없이 무분별하고 잔인하게 포획했습니다. 일본의 한 어렵 회사는 한일강제병합(경술국치)이 되기 전, 약 8년 동안 독도에서 강치를 집중 포획하였고, 그 양이 약 1만 4,000마리 정도였습니다. 강치의 지방은 기름의 재료로, 살과 뼈는 비료의 재료로, 가죽은 가방이나 옷의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가치가 없다고 여긴 새끼 강치는 서커스단에 팔아버렸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강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절멸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강치는 독도에서는 1972년까지 확인되었으며, 1975년 이후로 멸종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일본의 무모한 욕심으로 인해 강치는 더이상 독도에서 볼 수 없는 존재가 되어버렸습니다.

일본 어부들이 그물로 강치를 잡는 장면 출처: 나무위키
독도수비대 강치

출처: 경상북도콘텐츠진흥원
공공누리유형-4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