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독도를 알아볼까요?독도와 관련된 이야기가 궁금하십니까? 지금 클릭하세요

독도 이야기독도 인물

독도 인물

이사부
이사부(異斯夫)

이사부는 성이 김 씨요, 내물왕의 4대손으로, 일명 태종(苔宗)이라고도 한다.

지증왕 13년(512)에 이사부는 아슬라주(阿瑟羅州)[현재의 강원도 강릉시] 군주가 되어 우산국(于山國) [현재의 울릉도, 독도]의 병합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그 나라 사람들이 어리석고 사나워서 위력으로는 항복받기 어려우니 계략으로써 복속시킬 수밖에 없다 생각하고, 이에 나무 사자를 많이 만들어 전선(戰船)에 나누어 싣고 그 나라 해안에 다다라 거짓으로 말하기를 "너희들이 항복하지 않으면 이 맹수를 풀어놓아 밟아 죽이겠다."라고 하였는데, 우산국 백성들이 두려워서 즉시 항복했다. 「삼국사기」권 4

우산국을 복속시킨 이사부는 541년(진흥왕 2) 병부령(丙部令)이 되어 562년까지 실권을 장악하며 동서남북으로 신라의 지배권을 확대하는 일에 크게 공헌하였다.

우산국은 지금의 울릉도를 중심으로 주변의 부속도서들을 세력권 내에 두었던 소국(小國)이었으며, 우산국의 영역에 대해 「만기요람」 군정편에는 울릉도와 우산도는 모두 우산국의 땅이며 우산도는 왜인들이 말하는 송도(松島)라고 하여 독도가 우산국의 영토였음을 문헌이 명료하게 증명하고 있다.

출처: (재) 독도 재단
안용복
안용복 (安龍福)

안용복은 조선(숙종 때)의 어부로, 일본이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의 영토로 인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안용복은 조선의 어부로 숙종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숙종 19년(1693) 박어둔 이하 십여 명과 함께 울릉도에서 어로 및 농사 활동을 하던 중 일본의 오야(大谷) 집안의 어부들과 충돌하여 일본 오키섬까지 납치당하게 된다. 오키도주는 안용복 일행을 돗토리성(鳥取城)의 호키슈(伯耆州) 태수에게 이송하게 되며, 안용복은 호키슈 태수 앞에서 울릉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강조하며 일본인들의 출어를 금지하여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호키슈 태수는 이를 에도막부에 보고하고 "울릉도는 일본의 영토가 아니다.(鬱陵島非日本界)"라는 서계를 써주어 안용복 일행을 나가사키ㆍ대마도를 거쳐 조선으로 돌려보냈던 것이다. 그러나 안용복이 대마도에 이르자 대마도주는 에도막부의 쇼군(집정관)이 안용복에게 써준 서계를 빼앗고, 조선의 동래부에 인계하였다.

이후 안용복이 숙종 22년(1696) 봄에 해산물 채취를 나갔다가 또다시 일본 어선들이 울릉도에서 어로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을 보고 즉시 그들을 쫓아내고, 울릉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항의하기 위하여 재차 돗토리번으로 건너갔다. 다시 돗토리번주 앞에 선 안용복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땅임을 명확히 하고, 일본인들의 계속되는 침범을 근절하여 줄 것을 요구하였던 것이다.

이에 돗토리번주는 "두 섬이 이미 당신네 나라에 속한 이상(兩島旣屬國), 만일 다시 국경을 넘어 침범하는 자가 있으면 국서를 작성하고 역관을 정하여 무겁게 처벌할 것이다."라고 하여, 에도막부의 결정사항을 전했다. 이와 같은 안용복의 활동을 계기로 일본의 에도막부는 울릉도 도해 금지명령을 내렸는데, 이는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확인시킨 결과이다. 또한 이 사실(史實)을 근거로 일본의 메이지 정부도 1877년 울릉도와 독도가 일본과는 관계가 없는 조선의 영토라는 것을 재확인했다.

출처: (재) 독도 재단
이규원
이규원(李奎遠)

순조 33년(1833) 3월 강원도에서 태어나서 19세에 무과로 공직에 나선 인물

안용복의 활동 이후 일본인들의 울릉도 왕래가 금지되었는데도 1881년 일본인들이 다시 울릉도에 들어와 무단 벌목한다는 사실이 울릉도 수토관에 의해 적발되었다. 이 사실은 강원도 관찰사를 통하여 조정에 보고되었고, 조정은 이규원을 울릉도 검찰사로 임명하여 울릉도의 형편을 조사토록 하였다. 1882년 4월 30일에서 5월 11일까지 울릉도에 들어간 이규원은 울릉도의 지형과 토지 비옥의 척박 정도 외에 섬에서 산출되는 해산물들을 일일이 구별하여 <검찰일기>에 기록하였다. 또한 일본인들이 표목을 세우고 벌목을 하고 있는 사실도 보고하였다.

이규원의 보고에 따라 조정은 즉시 일본에 항의 서한을 보내고 곧바로 울릉도 재개척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 1883년 4월 각 도로부터 16호 54명이 이주한 이래 울릉도 주민은 점차 늘어갔다. 1900년 10월에는 대한제국 칙령 제41호를 반포하여 울릉도를 독립된 군으로 승격시키고 지방행정 장관인 군수로 하여금 울릉도와 독도를 관할토록 하였다.

이규원의 검찰 보고로 인하여 울릉도에서 400여 년 간 실시되었던 쇄환 정책과 수도 정책이 풀리면서 울릉도 관리 정책이 수립되게 된 것이다.

출처: (재) 독도 재단
홍순칠
홍순칠 (洪淳七)

독도의용수비대 홍순칠

홍순칠은 1929년 1월 23일 경상북도 울릉도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 홍재현은 1883년 울릉도 재개척이 시작될 때 강원도 강릉에서 울릉도로 이주해 평생을 울릉도를 위하여 헌신했으며, 홍순칠은 어릴 때부터 독도가 울릉도의 속도(屬島)라는 가르침을 받으며 자랐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국군에 입대하여 함경북도 청진까지 진격하였으나, 원산 근처에서 전상을 입고 1952년 7월 특무상사로 전역하였다.

1952년 7월 말, 울릉도 경찰서 마당 한 쪽에 ‘시마네현 오키군 다케시(島根縣隱岐郡竹島)’라고 쓴 표목이 놓여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때부터 독도를 지키기로 결심하였다.

이후 군에서 제대한 청년들을 규합하여 독도의용수비대를 조직하고 사재를 털어 무기 등 장비를 구입하였다. 1953년 4월 독도에 첫 상륙한 이후 독도의용수비대를 이끌면서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과 수차례의 총격전을 감행하였다.

갖은 고난과 악조건을 무릅쓰고 독도를 수호한 그의 활동은 오늘날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6년 5등 근무공로훈장과 1996년 보국훈장 삼일장이 추서되었다. 저서로는 국가유공자 생활 수기 공모 작품집인 무명용사의 훈장에 실린 독도의용수비대를 비롯하여 생전에 잡지에 연재했다가, 1997년 출간된 수기 「이 땅이 뉘 땅인데」가 있다.

출처: (재) 독도 재단
공공누리유형-4
top